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는 우리가 이해해야 하는 무언가가 있다.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사람을 “저항하는 성격”으로 부른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내성적이거나 외향적일 수 있지만, 무엇보다 역경 속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능력이 특징이다.
1. 핑계를 좋아하지 않는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아주 특별한 특징이 있다. 바로 실수를 통해 배우고 성공하는 것이다. 겸손하지만 결단력을 갖고, 양심을 바탕으로 행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핑계를 대거나 무언가를 미루기만 하는 사람들은 물론, 반쪽짜리 진실이나 거짓을 전혀 좋아하지 않는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있어 이러한 행동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다. 장애물이 될 뿐만 아니라, 의도와 목표를 향한 노력을 느려지게 만든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의 세상에서는 할 일을 꼭 해야 한다. 이루기 위한 목표를 세우면 동기 부여가 생겨 열심히 노력을 한다.
그러므로 핑계와 잘못된 논리로 하루를 채우는 사람들을 아주 불편해하는 것이다.
2. 자신의 인생에 사람을 들이는 것에 조심스럽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을 정의하는 것 중 하나는 자신의 내적인 동기를 발견하기 위한 통제력이다.
이러한 사람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원하지 않는지를 알고 있다. 과거에 누군가에게 실망했거나, 환멸을 느꼈거나, 배신을 당한 것으로 이러한 교훈을 얻은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마음의 문을 닫거나, 차가워지거나, 사람을 믿지 않는 것은 아니다. 타인에게 자신을 열지만, 적절한 심리학적 필터링을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자신을 귀찮게 하는 사람이나 내면의 평화를 방해하는 사람은 자신의 인생에 들이지 않을 것이다.
3. 둔감하거나, 이기적이거나, 가식적인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강하고 저항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예민하고 아주 겸손하다.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행복감을 주는 중요한 일들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기적이거나, 삶에서 가장 단순한 것들을 가치있게 여기는 법을 모르는 사람들을 참아내지 않는다. 존중과 행복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나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것들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4. 두려움과 역경으로부터 교훈을 얻는다
강한 사람을 정의하는 특징 중 하나는 명확한 심리적 회복력이다. 이미 알다시피 개인적인 성장의 영역에 있어서 회복력 만큼이나 중요한 단어는 없을 것이다.
회복력이란 역경과 정서적 고통을 극복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어려운 경험들로부터 배우는 능력을 의미한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두려움으로부터 배울 수 있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계선을 넘는 법을 알고 있다.
또한 자신이 얻은 귀중한 교훈으로 인해 두려움 없이 앞으로 나아가고 “받아들이지 않아도 되는 것”에 대해 잘 알게 된다.
5. 다른 사람처럼 될 필요가 없다
초반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모든 사람들을 항상 기쁘게 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럴만한 가치가 없는 사람들에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이들은 남을 기쁘게 만들려고 노력하고, 모든 사람들의 인정을 받으려고 하는 것만큼 좌절과 고통을 가져오는 것도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이처럼 불필요한 행동은 유용하지도, 논리적이지도, 건강하지도 않다.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누군가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
출처 : https://www.google.co.kr/amp/s/steptohealth.co.kr/5-traits-define-strong-personality/amp/
'심리학 > 심리학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일은 어제 일 같은데 나쁜 일은 오늘 일 같다 - 전이수 (0) | 2020.06.26 |
---|---|
부지런한 사람 99%가 갖고 있는 치명적인 착각 (0) | 2020.06.25 |
높은 자존감, 낮은 자존감에 대해 (0) | 2020.06.21 |
자기 프레임의 과다 : 너는 나를 모르지만 나는 너를 알고 있다 (0) | 2020.06.21 |
유년기 부모와의 관계가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 (0) | 2020.06.05 |